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2

고려 수도가 함락된 적이 있다? 홍건적의 침입과 개경 천도 사건 고려 수도가 함락된 적이 있다? 홍건적의 침입과 개경 천도 사건우리가 잘 모르는 ‘홍건적의 침입’과 개경 천도 사건1. 홍건적이 누구인가?홍건적(紅巾賊)은 14세기 중엽, 중국 원나라 말기 한족 농민 반란군입니다.그들은 붉은 두건(홍건)을 쓰고 있었기 때문에 ‘홍건적’이라 불렸습니다.이들은 원나라의 지배에 저항하며 각지에서 봉기했고, 그 중 일부 세력이 산둥·요동 지역을 거쳐 고려로 침입하게 됩니다.이 침입은 단순한 약탈 수준이 아니라, 수도 개경까지 함락시키고 왕이 피난하는 사상 초유의 사건으로 발전합니다. 2. 14세기 고려, 이미 혼란의 시기였다홍건적의 침입이 있었던 1359년~1361년, 고려는 이미 내부적으로 큰 혼란을 겪고 있었습니다.원나라 간섭기 말기로, 고려 정치가 극도로 불안정했고왜구의 .. 2025. 7. 25.
조선의 자유무역 혁신 정조대왕의 ‘신해통공’이 만든 조선판 경제개혁 조선의 자유무역 혁신정조대왕의 ‘신해통공’이 만든 조선판 경제개혁 1. “정조대왕은 훈민정음을 만든 세종만큼의 행정가였다”정조대왕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성군(聖君)으로 꼽힙니다.대중에게는 주로 “정약용을 발탁했다”, “규장각을 설치했다”, “사도세자의 아들이다”라는 이미지로 기억되지만, 실제로 정조는 경제 정책에서도 혁신적인 결단을 내린 통치자였습니다.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신해통공(辛亥通共)’**입니다.이 정책은 1791년(정조 15년), 조선 후기 상업 구조를 근본적으로 뒤흔든 시장의 개방 조치로, 오늘날로 치면 독점 폐지, 자유시장 도입, 경제 민주화와 같은 조치에 해당합니다. 2. 당시 한양 시장은 누구의 것이었나?조선 후기, 특히 수도 한양의 주요 시장은 **육의전(六矣廛)**이라는 .. 2025. 7. 25.
세종대왕이 울릉도에 사람을 보낸 이유? 이사부의 울릉도·독도 편입 이후, 세종의 울릉도 재조사 사업 세종대왕이 울릉도에 사람을 보낸 이유?조선 전기의 해양 주권 재확인 프로젝트1. 울릉도는 고려가 아니라 조선이 다시 확인했다?대부분의 한국인은 "울릉도와 독도는 신라 시대 이사부가 편입했다"는 사실은 알고 있습니다.하지만 조선 세종 시기에 이 영토가 다시 실질적으로 조사를 받고, 조선 영토로 행정 조치된 사건이 있었다는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이 사건은 바로 **세종 13년(1431년)**에 있었던 **‘울릉도·우산도 재조사 및 주민 정리 명령’**입니다.이것은 단순한 섬 탐사가 아니라, 해양 영토에 대한 조선 정부의 주권 확인이며, **독도 영유권 주장에도 연결되는 중요한 전거(근거)**가 됩니다.2. 사건의 배경 – ‘울릉도에 사람이 산다’는 보고조선 초, 울릉도는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로 .. 2025. 7. 25.
조선에서 종교가 금지된 적이 있다? 신유박해(1801)와 조선 최초의 대규모 천주교 탄압 이야기 조선에서 종교가 금지된 적이 있다?신유박해(1801)와 조선 최초의 대규모 천주교 탄압 이야기1. 신유박해란 무엇인가?**신유박해(辛酉迫害)**는 조선 순조 1년(1801년), 조선 정부가 천주교(가톨릭) 신자들을 대거 체포·처형한 최초의 국가 주도 종교 탄압 사건입니다.이 박해는 단순히 종교적 이유뿐 아니라,국가 통치 이념인 유교 질서정조 사후의 정치 세력 변화노론 벽파의 집권등이 맞물려 발생한 정치+사상+종교가 얽힌 복합 사건이었습니다.2. 천주교가 조선에 들어온 이유와 배경조선에 천주교가 처음 전래된 것은 18세기 후반, **정조 대에 실학자들을 통해 서학(西學)**의 일환으로 전해졌습니다.대표적인 인물로는 이승훈, 정약용, 정약전, 정약종, 권철신, 주문모 신부 등이 있으며, 이들은 유교의 경직된.. 2025. 7. 24.
공녀 제도와 인신매매 금지령의 진실 - 조선 중기의 여성 인권 개혁 조선이 여성을 팔았다? 공녀 제도와 인신매매 금지령의 진실 (조선 중기의 여성 인권 개혁)1. 공녀 제도란 무엇인가?공녀(貢女)는 말 그대로 중국에 조공으로 바친 여자를 의미합니다.고려와 조선 초기에는 원나라·명나라 등 중국의 요구에 따라 일정 수의 여성들을 바치는 공녀 제도가 존재했습니다.조선 전기에는 특히 명나라로 보내는 환관·공녀 조공이 반복되었고, 양인 여성이나 심지어 노비 출신 여성들이 강제로 선발되어 중국 궁중이나 환관 거처로 보내졌습니다.이 제도는 단순한 외교 문제가 아니라, 여성의 인권 침해와 지역 민심 이반, 지방 관리들의 부정부패로 이어지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발전하게 됩니다. 2. 공녀 제도 폐지를 향한 조선의 내부 저항공녀 제도는 겉으로는 '조공 외교'라는 명분이 있었지만, 실제로는.. 2025. 7. 24.
세종대왕의 숨겨진 업적, 쓰시마 정벌 – 기해동정 이야기 세종대왕의 숨겨진 업적, 쓰시마 정벌 – 기해동정 이야기 평화의 군주 세종, 왜 전쟁을 선택했는가?‘세종대왕’ 하면 대부분 사람들은 훈민정음, 과학 기술, 음악과 천문학 등의 문화 업적을 떠올립니다.하지만 조선 초기를 뒤흔든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세종이 직접 군사 작전을 지휘한 사건이 있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바로 쓰시마 정벌, 혹은 **기해동정(己亥東征, 1419년)**입니다.이 전쟁은 단순한 국지전이 아니라, 조선의 해양 안보, 대외 외교, 국방 전략이 종합적으로 결합된 군사외교 복합 작전이었습니다. 己亥(기해): 60간지 중 36번째 해로, 1419년을 뜻합니다.東征(동정): 동쪽으로 정벌함, 즉 동쪽 방향(일본)에 대한 군사 원정을 의미합니다. 1. 왜구의 끊임없는 침탈, .. 2025. 7. 24.
잘 알려지지 않은 발해의 전략 – 남경 설치와 3국 외교 균형 잘 알려지지 않은 발해의 전략 – 남경 설치와 3국 외교 균형1. 조선 이전 한국사, 잊혀진 강국 ‘발해’한국사에서 고대 국가라 하면 대부분은 고구려, 백제, 신라를 떠올립니다. 하지만 이들보다 한 세대 뒤, 고구려 유민들이 세운 발해는 오늘날의 북한, 연해주, 만주, 함경도 지역까지 아우르는 대제국이었습니다.문제는 발해가 고려에 의해 계승되지 못하고 사라졌다는 점에서, 한국사에서 충분한 주목을 받지 못했다는 것입니다.그러나 발해는 단순한 왕조가 아니라, 외교 전략과 도시 설계까지 고려한 고도화된 국가였습니다.오늘 소개할 사건은 바로 발해의 남경(南京) 설치와 3국 외교 전략입니다. 이 내용은 교과서에는 거의 등장하지 않지만, 발해의 국제정치 감각을 엿볼 수 있는 결정적 장면입니다.2. 발해의 수도는 하.. 2025. 7. 23.
노비안검법: 우리가 잘 모르는 고려시대 신분 해방 이야기 조용한 혁명, 고려 광종의 노비안검법을 아시나요?한국사에서 조선이나 삼국시대는 비교적 잘 알려져 있지만, 고려 시대의 사회개혁은 상대적으로 조명을 덜 받습니다.그중 **광종(光宗)**이 시행한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은 오늘날 기준으로 보면 신분제에 균열을 낸 대단히 진보적인 법률이었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그 내용을 잘 모릅니다.노비안검법은 단순히 노비를 해방한 법이 아닙니다.고려 사회의 권력 구조, 왕권 강화, 양민 증가, 군사력 확보까지 연계된 대대적인 사회개혁의 시발점이었습니다. 1. 노비안검법이란 무엇인가?노비안검법은 고려 광종이 956년에 시행한 법률로, 불법적으로 노비가 된 사람을 조사해 양민 신분으로 되돌리는 제도였습니다.한자로는 ‘노비를 검사한다’는 의미이며, 국가가 직접 나서서.. 2025. 7. 23.
위나라 사신을 죽인 고구려, 그리고 벌어진 일들 조선 건국 이전, 고대사의 중심 무대였던 삼국시대.우리는 흔히 고구려, 백제, 신라의 건국과 전쟁 이야기에는 익숙하지만, 고구려가 위나라 사신을 죽이면서 벌어진 충격적인 외교 사건은 의외로 많은 분들이 모르고 계십니다.이 사건은 중국 삼국시대의 위나라와 고구려 사이에서 벌어진 외교 분쟁으로, 단순한 외교 문제가 아닌 군사적 충돌과 고구려 초기 대외 인식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1. 고구려와 위나라 사이, 갈등의 시작서기 242년, 고구려의 동천왕은 중국의 요동 지역을 넘보며 세력을 확장하던 중이었습니다. 당시 중국은 조조가 세운 위나라가 중원을 지배하고 있었고, 요동 지역 역시 위나라의 영향권 아래 있었습니다.고구려는 이 틈을 타서 요동을 압박하고 있었는데, 이에 위나라가 사신 관구검을 보내 고구려.. 2025. 7. 23.